2025 결혼 이자지원제도 총정리|지역별 신혼부부 대출이자 지원 비교
결혼을 준비하거나 신혼생활을 시작한 부부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가 있습니다. 바로 결혼 이자지원제도입니다. 최근 금리 인상으로 주거비 부담이 커진 가운데, 정부와 지자체가 신혼부부의 주택자금 대출이자를 일부 지원해 주거 안정과 결혼 정착을 돕고 있습니다.
💍 결혼 이자지원제도란?
결혼 이자지원제도는 혼인신고 후 일정 기간 내 신혼부부가 전세자금이나 주택구입자금을 대출받을 때, 대출이자 일부를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특히 부부 공동명의 대출의 경우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되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🏠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
- 대상자: 혼인신고 후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결혼 예정자
- 소득기준: 부부합산 연소득 8천만 원 이하(지자체별 상이)
- 지원대상: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의 전세 또는 구입자금 대출
- 대출기관: 협약은행(국민, 신한, 농협, 우리 등)
💰 지원내용
지역별로 지원율과 한도가 다르며, 보통 연 1~3% 수준의 이자감면을 제공합니다.
- 지원금액: 연 최대 200만 원~300만 원
- 지원기간: 2~5년
- 지원방식: 대출이자 계좌 직접 입금 또는 이자 차감 방식
📍 지역별 결혼 이자지원제도 비교표 (2025년 기준)
| 지역 | 지원대상 | 이자지원율 | 지원한도 | 지원기간 | 신청방법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서울특별시 |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| 최대 연 2% | 연 300만 원 | 최대 5년 | 서울시청 홈페이지 |
| 경기도 | 혼인 5년 이내 부부 | 1.5% 이자감면 | 연 200만 원 | 최대 3년 | 경기도청 홈페이지 |
| 대전광역시 | 혼인 7년 이내, 소득 8천만 원 이하 | 연 2% | 연 240만 원 | 최대 3년 | 대전시청 홈페이지 |
| 부산광역시 | 예비·신혼부부, 주택자금대출자 | 최대 연 2.5% | 연 300만 원 | 최대 5년 | 부산시청 홈페이지 |
| 전라북도 | 혼인 5년 이내 신혼부부 | 연 1.5% | 연 200만 원 | 최대 2년 | 전북도청 홈페이지 |
| 강원특별자치도 | 결혼 7년 이내, 청년부부 우대 | 연 2% | 연 250만 원 | 최대 4년 | 강원특별자치도청 |
※ 지자체별 예산 상황에 따라 지원 규모가 달라질 수 있으며, 매년 공고를 통해 모집합니다.
📝 신청방법 및 절차
- 거주지 관할 지자체 또는 정부24 방문
- ‘신혼부부 이자지원’ 검색 및 온라인 신청
- 혼인관계증명서, 소득서류, 대출확인서 등 제출
- 지자체 심사 후 결과 통보 및 이자지원 개시
🌿 제도 활용 팁
- 지자체별로 출산장려금, 전세보증금 보조와 함께 신청 가능
- 예산 조기 마감되므로 공고 즉시 접수 권장
- 부부 공동명의일 경우 이자지원 폭이 넓어지는 경우 있음
Tags:
money
.png)

